현재상황보고바람

🏘️ 비어가는 마을, 사라지는 고향… 지역 소멸 위기 현실

쿠쿠마린 2025. 4. 9. 20:24
반응형
SMALL

“우리 마을 초등학교도 이번에 문을 닫았어요. 이제 아이 울음소리가 안 들려요.”
강원도의 한 농촌 마을. 50년째 그곳에 산 주민 김순례 씨는 요즘 마을이 점점 ‘조용해지는’ 것이 너무 무섭다고 말한다.
조용함은 평온이 아니라, 소멸의 전조다.


📉 10년 안에 사라질 도시들?

“지방이 소멸하고 있다.”
이 말은 과장이 아니다.
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,
2023년 기준 전국 228개 시·군·구 중 113곳이 소멸 위험지역으로 분류됐다.
그 중에서도 전라남도 고흥, 경북 의성, 강원 인제 등은 **‘소멸 고위험 지역’**이다.

이 말은 곧,
“앞으로 10~20년 내에 사람이 거의 살지 않는 지역이 될 수 있다”는 경고와 같다.

특히 청년층이 수도권으로 빠르게 유입되면서
지방은 ‘노인들만 남은 도시’로 변해가고 있다.


🧑‍🌾 왜 사람들은 지방을 떠날까?

이유는 단순하다.
일자리, 교육, 의료, 문화가 모두 수도권에 집중돼 있기 때문이다.

  • “취업하려면 서울 가야죠.”
  • “아이 대학 보내려면 수도권 근처에 살아야죠.”
  • “병원도, 대형마트도 없어 불편해요.”

지방 소멸은 개개인의 선택이 아닌,
‘집중과 편중’이 만든 구조적 문제다.

또한 출산율 저하도 치명적이다.
젊은 세대가 없으니 결혼도 줄고, 출산도 줄고, 학교도 사라진다.
마을이 ‘점점 조용해진다’는 건, 그 안에 새 생명이 들어오지 않는다는 뜻이다.


🏚️ 사라지는 공간, 잊히는 기억

많은 지역에서는 폐교, 폐가, 폐업이 일상이 되고 있다.
마을 입구의 가게도 문을 닫았고, 버스도 하루에 한 번 올까 말까다.

언제나 그 자리에 있던 것 같던 작은 마을이
하나씩 사라지고, 지도에서 점점 지워진다.

이건 단순한 행정구역의 변화가 아니다.
‘기억의 소멸’이기도 하다.

우리가 어린 시절 할머니 댁에 가던 그 길,
논두렁 옆 개울가에서 뛰놀던 그 시간들,
이 모든 것들이 실제로 사라지고 있는 중이다.


🛠️ 지방을 살리는 방법은 없을까?

정부와 지자체는 다양한 대책을 내놓고 있다.

✔️ 귀농·귀촌 장려금
✔️ 지방청년 창업 지원
✔️ 교육 인프라 확충
✔️ 문화센터, 공공병원 유치 등

하지만 근본적으로는
지방도 ‘삶의 질’을 보장받을 수 있어야 한다.
서울과 지방이 ‘기회의 질’에서 평등해져야
청년들도 돌아오고, 정착하고, 가정을 꾸릴 수 있다.

최근에는 ‘디지털 노마드 유치’, ‘리모트워크 기반 도시’ 같은 새로운 형태의 지방 살리기 전략도 등장하고 있다.
중요한 건, 사람이 돌아올 수 있는 이유를 만드는 것이다.


🌾 사라지지 않았으면 하는 ‘그곳’

우리의 고향은 단순한 지명이 아니다.
우리 가족의 역사이고, 우리의 뿌리다.

더 이상 "그 마을, 지금은 없어요"라는 말이
뉴스에서만 들려오지 않도록,
우리는 지금 지방을 돌아볼 필요가 있다.

그곳엔 여전히 사람들이 살고 있고, 기억이 있고, 미래가 있다.

반응형
LIST